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화장실의 역사와 숨겨진 이야기들 똥 이야기

by R-Review 2024. 11. 23.
반응형

화장실의 역사와 숨겨진 이야기들 그리고 화장실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정리해 봤습니다. 프랑스의 대문호 빅토르 위고는 "인간의 역사는 곧 화장실의 역사"라는 명언을 남겼죠. 오늘은 우리 삶과 뗄 수 없는 공간, 화장실에 얽힌 재미있는 에피소드들을 소개합니다. 

 

화장실과 똥

똥 밟았네!

기억하시나요? 레트 로봇의 노래 '똥 밟았네'는 중독성 강한 후렴구로 엄청난 인기를 끌었습니다. 

 

레트 로봇 '똥 밟았네' 풀 버전

https://youtu.be/s9d44ikc02k?si=fL-ziTayjuk4aeI5

 

 

화장실 명언들

화장실에서 볼일을 보는 동안, 잠시 생각에 잠기게 만드는 명언들을 본 적 있는지요?

"큰일을 먼저 하라. 작은 일은 저절로 이루어질 것이다" - 데일 카네기 → 중요한 일을 먼저 하라는 의미지만, 화장실에서 보면 웃음이 나오는 문구죠. 


"실패한 고통보다, 최선을 다하지 못했음을 깨닫는 것이 몇 배 더 고통스럽다." - 앤드류 매튜스 → 변비로 고생할 때 보면 딱 맞는 말처럼 느껴지기도 하고요. 


"내가 사색(思索)에 잠겨있는 동안 밖에 있는 사람은 사색(死色)이 되어간다."

 

"내가 밀어내기에 힘쓰는 동안 밖에 있는 사람은 조여 내기에 힘쓴다." 

 

 

남자 화장실에만 있는 것들

남자들이라면 공감하실 만한 이야기! 소변기에 붙어있는 파리 그림과 "흘리지 말아야 할 것은 눈물만은 아닙니다"라는 문구, 기억하시죠? 요즘은 "만약 당신이 저를 깨끗하게 사용하시면, 제가 본 것을 비밀로 하겠습니다. -변기 올림."처럼 더 세련된 문구들도 많습니다.

 

깨끗한 화장실 칸을 찾는 팁

공중화장실에서 가장 깨끗한 칸은 첫 번째 칸이라고 해요. 사람들이 안쪽 칸을 선호하는 경향 때문이라 합니다.

 

처칠과 노동당 당수의 화장실 에피소드

영국의 정치가 윈스턴 처칠과 노동당 당수가 화장실에서 마주쳤을 때, 처칠은 노동당 당수를 피해 멀리 떨어져 볼일을 봤다고 합니다. 노동당 당수가 이유를 묻자, 처칠은 "당신은 큰 것만 보면 뭐든 국유화하려고 들지 않소!"라고 답했다는 유머 넘치는 일화가 있죠. 



하이힐의 기원?

독일의 사학자 푸크스는 하이힐이 분뇨를 피하기 위해 고안되었다고 주장합니다. 흥미롭죠? 당시 열악한 하수 시설 때문에 거리에 버려진 오물을 피하려고 굽이 높은 신발을 신었다는 건데요. 하지만 하이힐을 유행시킨 건 프랑스의 루이 14세라는 사실! 키가 작았던 그는 하이힐로 자신감을 높였다고 합니다.

 

화장지에 대한 모든 것!

화장지는 어느 쪽으로 풀어야 할까요? 설문 조사 결과, 사용자 쪽으로 풀리게 거는 사람이 더 많다고 합니다. 하지만 1891년 미국 특허청에 등록된 화장지 도안은 벽 쪽으로 풀리게 되어 있었다는 사실! 어느 쪽이든 편한 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화장지의 역사:

과거에는 신분에 따라 짚, 나뭇잎, 직물 등을 사용했고, 1857년에 종이 화장지가 등장했지만, 신문지가 더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1879년 영국에서 두루마리 화장지가 출시되고, 미국에서도 비슷한 시기에 출시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 유한킴벌리가 화장지를 생산하기 시작했지만, 신문지나 달력이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1974년 캐릭터 '뽀삐'를 활용한 마케팅으로 화장지가 대중화되었습니다.

 

제주도의 화장지 이야기:

과거 제주도에서는 식당에 두루마리 화장지를 비치하는 것을 금지했었다고 해요.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문화적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이유였죠. 지금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변기는 왜 흰색일까?

옛날에는 다양한 색깔의 변기가 있었지만, 지금은 흰색이 대부분입니다. 전구색이 주황색에서 흰색으로 바뀌면서 흰색 변기가 더 잘 어울리게 되었고, 청결 상태를 확인하기 쉽고 변의 상태를 확인하여 건강 상태를 체크하기에도 좋기 때문입니다.


하늘을 나는 화장실

옛날 기차에서는 오물 저장 탱크가 없어서 달리는 동안에만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비행기는 어떨까요? 다행히 비행기에는 오물 저장 탱크가 있어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초기 여객기에는 화장실이 없어서 이동식 변기통을 사용했다는 사실도 재미있습니다. 

 

똥이야기 마무리

화장실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눠봤는데요, 어떠셨나요? 일상생활에서 꼭 필요한 공간인 만큼, 화장실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죠? 다음에 또 재미있는 이야기로 찾아오겠습니다! 

 

 

반응형